과학속으로

그래프

크로! 2018. 1. 1. 17:08

공장 자동화의 핵심에는 PLC 라는 콘트롤러가 있다. 이 PLC 의 논리를 Ladder Diagram 형식으로 보통 작성한다.

왜 Ladder 언어일까? 일상에 쓰이는 말은 컴퓨터가 해석하기 힘들어 제외하더라도 C++ 나 Java 같은 언어도 될텐데? 물론 C++ 나 Java로도 논리를 넣을 수 있다.


언어는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수단이다. 시스템에 따라 알맞은 언어가 있다. Ladder 언어는 공정 제어에 알맞다. 상형문자처럼 생겼지만 일단 규칙을 알고 나면 그 단순함에서 넘쳐나는 아름다움이 있다 .

어떤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나면 수식으로 표시 가능하고, 수식이 완벽한 곳에 그래프가 나타난다.

사람에게는 그래프가 초기에는 배우기 어려우나 패턴을 학습한 후에는 매우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 감각적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