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ML
차세대 자료 언어로 왜 XML이 주목을 받는가? 결론적으로 XML은 매우 가치있는 언어임에는 틀림없다. 그렇지만 XML외 다른 노력이 경시되면 안된다. 하나의 문장은 '주어+동사', '주어+목적어+동사' 형식을 가진다. 문법의 관점에서 보면 그렇다. 아래 문장을
"나는 간다"
언어학적인 XML으로 표시하면
이다. 그렇지만 어느 누구도 XML형으로 글을 쓰거나 말을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미 그 약속을 알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컴퓨터는 다르다. 컴퓨터는 "나는 간다"를 주어와 동사로 분해하지 못한다. 그렇지만 XML버전은 Tag가 있기 때문에 가능할 것이다.
예에서 보듯이 XML은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틀을 준다. Data Base나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Configuration File도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왜 XML 때문에 호들갑인가? XML은 Data base보다 자료를 저장하는 방법이 다양하므로 XML형식을 가지는 Data base의 출현도 가능 할 것이다. Configuration file은 단순한 자료 파일이다. 그러므로 언제든지 XML형식으로 변경가능하다. 자료를 잘 정리하여 두면 언제든지 활용 가능하다. XML을 활용하면 자료 정리, 자료의 유통, 자료의 해석, 자료의 검색이 쉽다.
그렇자만 XML파일은 어디까지나 자료 파일이기 때문에 이것을 어떻게 가공하는지는 프로그램의 몫이다.
ImPRO의 Data File은 XML의 문법에 따라 고안된 PML(Procedure Markup Language)이다. 프로그램에서는 PML를 처리하여 절차 수행이 되도록 생기를 불어 넣었다.
XML의 가장 기초적인 문법은 Tag가 있으며 그 Tag는 시작가 끝이 있다는 점이다.